kubernetes Server Infra/Kubernetes 2022. 6. 5. K8s Study DOIK - MySQL Operator for Kubernetes 우선 Operator가 뭔지 알아보자. https://kubernetes.io/ko/docs/concepts/extend-kubernetes/operator/ 오퍼레이터(operator) 패턴 오퍼레이터(Operator)는 사용자 정의 리소스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및 해당 컴포넌트를 관리하는 쿠버네티스의 소프트웨어 익스텐션이다. 오퍼레이터는 쿠버네티스 원칙, 특히 컨트롤 루프를 kubernetes.io 요약하면 CRD와 CR을 활용하여 자신만의 컴포넌트를 관리할 수 있는 패턴이다. 예를들어 Control plan의 scheduler처럼 사용자가 새롭게 만든 컨트롤러가 컴포넌트를 관리하게 할 수 있는 형태이다. 배포된 애플리케이션의 패키징을 관리하고 API와 kubectl 툴링에 의해 사용 관리된다. 만.. Server Infra/Kubernetes 2022. 5. 6. finalizers 제거기(Namespace Terminating) argoCD 설치가 좀 잘못되어 제거도중 namespace가 terminating 상태에 빠져버렸다 왜 그런지 확인해보니 제거 도중 뭔가 잘못 꼬여 namespace의 kubernetes finalizers가 잘못된것. https://kubernetes.io/blog/2021/05/14/using-finalizers-to-control-deletion/ Using Finalizers to Control Deletion Authors: Aaron Alpar (Kasten) Deleting objects in Kubernetes can be challenging. You may think you’ve deleted something, only to find it still persists. While iss.. Server Infra/Kubernetes 2022. 1. 9. 쿠버네티스 wordpress 설치하기! 지금까지 해온 업무나 기술정리를 노션과 티스토리에 정리했는데 놀고있는 서버에 뭐라도 띄워볼까 했습니다.. 마침 서버와 나스 둘다 있고.. Id 이름 상태 ---------------------------------------------------- 10 k8s-master 실행중 21 k8s-node2 실행중 22 k8s-node3 실행중 23 k8s-node1 실행중 kvm으로 vm도 4개에 클러스터 잘 되어 있고.. NAME STATUS ROLES AGE VERSION k8s-master Ready control-plane,master 214d v1.21.1 k8s-node1 Ready 214d v1.21.1 k8s-node2 Ready 214d v1.21.1 k8s-node3 Ready 132d v.. Server Infra/Kubernetes 2022. 1. 5. Certified Kubernetes Application Developer(CKAD) 합격 후기 참조 링크 2021-09-28 이후 변경내용 CKAD-exercises (시험 과목별 모의 문제 및 해결 방안 정리한 Github) GitHub - dgkanatsios/CKAD-exercises: A set of exercises to prepare for Certified Kubernetes Application Developer exam by 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 GitHub - dgkanatsios/CKAD-exercises: A set of exercises to prepare for Certified Kubernetes Application Developer exam by Cloud A set of exercises to prepare for Certif.. Server Infra/Kubernetes 2022. 1. 5.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CKA) 합격 후기 2021-09-14 그렇게 오래 준비하던 CKA 시험을 응시후 2021-09-15 84점 합격결과를 받았다. 2018년도부터 관심이 있던 쿠버네티스...스터디만 1년 넘게 하고 강의도 무수히 많이 보았지만 악명 높은 진입 장벽으로 인해 초창기 컨트롤 플레인 이해하는 시간에도 한참 걸렸다. 사실 개발자 입장으로 개발후 도커 이미지만 넥서스에 밀어 넣으면 자동으로 배포되는 환경에서 개발했기에 기본적인 개념을 익히는데 매우 오래 걸렸다. 도커 자체는 너무 많이 사용하고 컴포즈와 ECS를 주로 사용했던 지라 기본적인 도커 지식은 충분 했던것 같다. 하지만 인프라, 네트워크, 리눅스 지식 베이스가 낮았던 지라...알아야 하는 정보들은 너무도 많았기에 쿠버네티스를 익히기 위하여 많은 투자를 했다. 우선 생각보다 많.. 이전 1 다음